데이터분석 기록일지

문제풀이/프로그래머스

[프로그래머스 Lv.1] K번째 수 (Python)

야하루 2024. 7. 16. 18:05

코딩테스트 연습 - K번째수 | 프로그래머스 스쿨 (programmers.co.kr)

 

프로그래머스

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

programmers.co.kr

 

 

문제

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,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.
예를 들어 array가 [1, 5, 2, 6, 3, 7, 4], i = 2, j = 5, k = 3이라면
1.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[5, 2, 6, 3]입니다.
2.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[2, 3, 5, 6]입니다.
3.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.
배열 array, [i, j, k]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

 

 

제한사항

array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.
array의 각 원소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.
commands의 길이는 1 이상 50 이하입니다.
commands의 각 원소는 길이가 3입니다.

 

 

입출력 예
array commands return
[1, 5, 2, 6, 3, 7, 4] [[2, 5, 3], [4, 4, 1], [1, 7, 3]] [5, 6, 3]

 

 

 

 

 


풀이

 

아이디어: 바깥의 for문으로 commands의 내부 리스트에 접근하고, 내부 for문으로 내부 리스트의 각 요소에 접근해서 array를 인덱싱해서 가져오면 된다
def solution(array, commands):
    result = []
    for i in commands:
        cut = []
        for j in range(i[0]-1,i[1]):
            cut.append(array[j])
            cut.sort()
        result.append(cut[i[2]-1])
    return result

 

 

 

 ☞ 위의 코드를 더 단순화 한 방법

def solution(array, commands):
    answer = []
    for i in commands:
        cut = array[i[0]-1:i[1]]
        cut.sort()
        answer.append(cut[i[2]-1])
    return answer

commands의 내부 리스트 개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, 굳이 이중 for문을 쓸 필요 없이

한번의 for문 안에서 인덱싱으로 풀 수 있다.

 

 

 

 

다른 풀이 모음

def solution(array, commands):
    return [sorted(array[a[0]-1:a[1]])[a[2]-1] for a in commands]
def solution(array, commands):
    return list(map(lambda x:sorted(array[x[0]-1:x[1]])[x[2]-1], commands))

-> 거의 비슷한 방법인데 위는 리스트 컴프리헨션을 이용했고, 아래는 map과 lambda를 이용한 풀이이다.

 

 

def solution(array, commands):
    answer = []
    for command in commands:
        i,j,k = command
        answer.append(list(sorted(array[i-1:j]))[k-1])
    return answer